'카카오뱅크 주택담보대출' 태그의 글 목록 :: 마이퍼펙트프리덤

대출 없이 내집마련을 하면 좋겠지만, 우리같은 서민들에겐 불가능한 일이죠...

 

작년에 엄청난 대출을 받으면서 집을 사는데, 대출상환 방식에 대해 고민되더라구요.

 

디딤돌 대출을 받았는데 상환방식이 원리금균등상환/원금균등상환 중 선택하게 되어 있더라구요.

 

이 두가지는 어떻게 다른지 공부했던 내용을 공유하려고 해요~^^

 

일단, 요즘은 1금융권에서는 대출금 거치가 안되더라구요. 아, 1년까진 가능해요.

 

저희도 디딤돌대출 받으면서 1년 거치했어요~ 1년이 지나면 무조건 원금을 같이 갚아야해요.

 

그럼 과연 원금과 이자가 우리집 형편에 감당 가능한지를 먼저 살펴봐야겠죠~

 

네이버에 들어가셔서 '원리금균등상환계산기'라고 검색하시면 간단하게 우리가 월 얼마를 내야하는지

 

예상해볼 수 있답니다~

대출금액, 기간, 이자율, 상환방법만 결정하고 계산하기를 누르시면 간단하게 나와요.

 

그럼, 이제 원리금 균등과 원금균등의 차이를 봐야겠죠?

 

원리금균등상환방식은 원금+이자 금액을 매월 동일하게 내는 방식이에요. 예를 들어볼게요

 

2억원을 30년 상환으로 3%의 이율로 원리금균등상환방식으로 빌렸다고 가정해볼게요

그럼 위 사진처럼 매월 843,208원을 납부하시게 되요. 30년 동안 매월 같은 금액을 내는거에요.

 

원리금균등이라는 말 그대로, 원금과 이자가 균등하다는 뜻이죠.

 

 

자, 그럼 원금균등상환방식은 뭘까요? 바로 원금만 매월 균등하다는거에요. 그건 곧 이자는 매월 달라진다는

 

뜻이겠죠? 이자는 남은 대출금에 대해 책정을 하게 되니까 매월 원금을 갚아나갈수록 남은 대출금은 줄어들고

 

당연히 이자금액도 매월 줄어들겠죠. 그럼 당연히 시간이 지날수록 이자금액은 점점 줄어들거에요.

 

따라서 매월 납부하는 금액이 점점 줄어들겠죠.

 

위와 같은 조건(2억, 30년, 3%)으로 원금균등상환방식으로 빌린다면 월 납부금은

이렇게 첫달이 가장 크고, 매월 조금씩 줄어들어요. 보시다시피 납부하는 원금은 매월 555,556원으로 동일하구요

 

 

납부하는 총 이자금액의 차이를 보면

 

첫번째 원리금균등상환방식은 위 조건(2억, 30년, 3%)으로 빌렸을 때

30년간 약 1억3백55만원의 이자를 내게 됩니다.

 

두 번째 원금균등상환방식은 동일 조건으로 빌렸을 때

30년간 약 9천25만원의 이자를 내게 됩니다.

 

즉, 부담하는 이자는 원금균등상환방식이 약10% 정도 저렴하네요.

 

 

그럼 결론입니다.

 

총 이자부담은 원금균등상환이 더 유리합니다. 대신, 초기 부담이 좀 더 커요.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담이 줄어들고, 노년이 되면 부담이 훨씬 줄어들겠죠~ 따라서 지금 크게 쪼들리지 않는다면 원금균등상환이

 

유리합니다.

 

지금 여유자금이 많지 않으시다면 원리금균등상환이 좀 덜 부담스러워요. 하지만, 시간이 아무리 지나도

 

30년동안 매월 같은 금액을 내야하고 총 부담하는 이자도 좀 더 많아요.

 

노년기에 수입이 줄어들어도 같은 금액을 부담해야해서 좀 버거울수도 있어요....

 

잘 고민하셔서 상황에 맞는 방법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작년 문재인대통령님 취임 이후 과열되어가는 부동산 시장을 잡기 위해 여러가지 정책들이 많이 나왔죠~ 이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의견이 분분해요. 이정도 정책으로는 잡을 수 없다는 설, 실수요자만 피해본다는 설, 오히려 폭등장이 될 수 있다는 설 등등

 

여러가지 설이 난무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문제는 대부분의 서민들이 정책의 본질조차 모른다는 점이죠. 아니, 본질을 모르는

 

정도가 아니라 단어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아요. 스스로 아니라고 생각하신다면 즉시 이 창을 닫으시면 됩니다.

 

아니....기왕 오신거 투자 카테고리에서 주식정보라도.....^^;;;;; 갑자기 약해지네요.....

 

늘 말씀드리지만, 저는 미천한 지식을 바탕으로 정보들을 찾아서 보완하면서 포스팅을 하기 때문에 그닥 깊은 지식을 제공해 드리

 

지는 못해요. 다만, 제가 아는 지식을 가능한 쉽게 표현해서 저보다 모르시는(물론 일부 분야겠지만) 분들이 이해하시고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실 수 있으면 좋겠구나 생각할 뿐이에요~그런 의미로 오늘은 부동산의 기초 중에 기초인 단어들을 살펴보려구요~

주위 친구들을 보면서 이 단어도 모르는 분들이 많구나 느꼈고, 이 단어정도만 알아도 부동산 관련 기사를 접할 때 그나마

 

거부감이 좀 덜하겠다는 생각도 했어요~ 오늘 볼 단어는 DTI, 신DTI, DSR, LTV 에요~

 

1. DTI(Debt To Income ratio) : 총부채상환비율

 

  본인의 소득 중에서 어느정도 돈을 빚(주택담보대출만 의미) 갚는데 써야하느냐를 의미해요.

 

 케이스1. 제가 연봉이 5천만원인데 주택담보대출로 매달 내야할 원리금이 208만원이라고 가정하면 1년이면 대충 2500만원.

 

 그럼 연봉에서 절반을 주택담보대출 갚는데 써야하잖아요? 그럼 DTI가 50%다 라고 얘기해요.

 

 케이스2. 제가 연봉이 5천만원, 주택담보대출로 매달 내야할 원리금이 208만원, 신용대출이 또 있어서 신용대출 이자가 매달

 

50만원. 그럼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로 1년간 내야할 돈이 2500만원, 신용대출 이자가 600만원. 그럼 총 3100만원이

 

나가죠? 그럼 DTI= 3100/5000 해서 62%가 되는거죠.

 

포인트 : 소득대비 빚갚는데 쓰는 돈을 계산하지만 주담대는 원리금을, 기타 대출은 이자만 계산

 

 

2. 신DTI(New Debt To Income ratio) : 신 총부채상환비율 -> 2018년 1월부터 시행

 

  1번과 거의 같은 제도이나, 빚과 소득을 계산하는 방식이 약간 달라요.

 

  * 먼저 빚을 계산하는 방식 : 주담대를 하나만 받으신다면 기존과 동일해요. 그런데 2개 이상이실 경우, DTI는 기존 주담대를

 

이자만 계산했어요. 그런데 신DTI는 기존 주담대도 원리금을 다 계산해요. 결국, 기존에 갖고 있는 주담대이건 이번에 새로

 

받는 주담대이건 통으로 묶어서 그 사람이 갖고 있는 전체 주담대의 원리금으로 계산한다는거죠.

 

케이스1. A라는 사람이 기존에 주담대가 없어요. 근데 이번에 처음으로 집을 장만하면서 대출 1억을 받아요. 그럼 기존 제도와

 

똑같은 방식으로 1억에 대한 대출 원리금을 따져서 DTI를 산정해요.

 

케이스2. A라는 사람이 기존에 주담대가 1억이 있어요. 근데 투자를 위해 아파트를 하나 더 사려고 주담대 1억을 신청해요.

 

그럼 기존 주담대 1억과 새로 신청하는 1억, 합해서 2억에 대한 원리금을 계산하는거죠.

 

 * 소득을 계산하는 방식 : DTI는 작년 소득증빙(미생성 기간에는 재작년)을 제출했지만, 신DTI는 2년치를 봐요.

 

그리고 소득산정시 차감하는 게 있고, 미래소득을 예상하는게 있긴한데요, 이건 아직 딱 정해진게 아니라 뭐라 얘기할 수가

 

없네요.

 

포인트 : 모든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을 따진다.

 

 

3. DSR(Debt Service Ratio)

 이건 그냥 모든 대출에 대해 원리금을 따지는거에요.

 

 

정리 : DTI, 신DTI, DSR 3가지는 모두 개인의 소득 중 얼마를 빚갚는데 써야하는지를 계산하는 방법인데,

 

DTI는 새로 신청하는 주담대만 원리금, 나머지 대출은 이자만

 

신DTI는 새로 신청하는 주담대와 기존 주담대 원리금, 나머지 대출은 이자만

 

DSR은 그냥 모든 대출에 대해서 원리금

 

쉽죠? 마지막으로 LTV를 볼게요. LTV는 위 내용들과는 전혀 다른 개념이에요. 저게 사람에 대해 적용하는 것이라면

 

LTV는 건물에 대해 적용하는 거에요. 즉, 이 건물 가치(평가액)에 몇%까지 돈을 빌려줄거냐 하는거에요.

 

A라는 아파트가 KB시세와 매매가가 동일하게 3억인데, LTV가 50%까지 허용되어 있다면, 1억5천까지 빌릴 수 있단거고

 

70%까지 허용되어 있다면 2억1천만원까지 빌릴 수 있다는거에요. 방공제 이런건 일단 빼고 간단하게 생각하면요~

 

 

 

자, 그럼 마지막으로 예를 하나 들어볼게요.

 

A라는 사람이 B라는 아파트를 사려해요. 이 아파트의 KB시세와 매매가는 동일하게 3억이고, 현재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생애최초 주택구매자에 대해 DTI 50%, LTV 60%를 적용하다고 가정할게요. 지금은 지역별로, 자격별로 이 한도가 달라서

 

이건 그냥 가정한거에요. 또한 A라는 사람의 연봉은 3천만원으로 가정해볼게요.

LTV가 60%이므로 아파트값 3억의 60%인 1억8천을 빌릴 수 있다는 의미구요, DTI가 50%이므로 이분의 연봉인 3천만원의

 

절반인 1500만원으로 대출금 1억8천만원에 대한 원리금을 감당할 수 있다면 대출이 가능하다는 의미에요.

 

원리금 균등상환 계산기(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op_sug.pre&fbm=1&acr=1&acq=%EC%9B%90%EB%A6%AC%EA%B8%88%EA%B7%A0&qdt=0&ie=utf8&query=%EC%9B%90%EB%A6%AC%EA%B8%88%EA%B7%A0%EB%93%B1%EC%83%81%ED%99%98+%EA%B3%84%EC%82%B0%EA%B8%B0)로 계산해봤더니

 

30년납 이율4%면 월 납부 원리금이 86만원정도. 연1,032만원. DTI = 1032/3000 = 34%에요. 그럼 기준인 50% 미만이므로

 

가능하다는 결론이에요. 대충 이정도만 아셔도 기본개념은 이해하신거니까 약간씩 변수정도는 은행에서 들으시는 설명으로

 

충분히 이해 가능하세요~ 한번 보시고 이해 안되시면 2~3번 정도만 반복해서 읽어보시기 바래요~~^^

+ Recent posts